버켓엘리베이터ㅣBUCKET ELEVATOR

|
| 생산 라인에서 제품을 처리하는데 최적의 이송시스템을 선택하면 속도, 비용 절감 및 최종 제품 품질 측면에서 많은 차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버킷 엘리베이터는 일부 생산 유형에서 비효율성과 높은 운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제품 오염 및 생산현장 내 분산 ▶ 높은 유지보수 빈도 ▶ 위생(소독) 관리의 어려움 |
|
|
|
|
|
|
|
| 장비 비교 |
|
|
|
| |
|
|
|
|
|
|
|
|
|
| PNEUMATIC CONVEYING |
| BUCKET ELEVATOR |
|
|
|
|
|
|
|
|
| 유연한 사용 |
| 공간 절약형 이송배관 및 유연하게 구성된 시스템 |
| 부피가 크고 변형하기 힘든 시스템 |
|
|
|
| |
|
|
|
| 간편한 위생관리 |
| 심플하고 즉각적인 위생관리 |
| 넓은 표면적의 위생관리 지역 |
|
|
|
|
|
|
|
|
| 유지보수 비용 및 빈도 |
|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음 |
| 잦은 빈도와 어려운 유지보수 |
|
|
|
|
|
|
|
|
| 제품 오염 위험 |
| 밀폐공간 이송으로 제품 오염 위험성 없음 |
| 아주 높은 오염 위험성 |
|
|
|
|
|
|
|
|
| 생산현장 내 제품의 분산 |
| 밀폐공간 이송으로 제품 분산 위험성 없음 |
| 아주높음. 가볍운 파우더 이송에 적합하지 않음 |
|
|
|
|
|
|
|
|
버켓 엘리베이터의 문제점 기존의 기계적 이송시스템인 버킷 엘리베이터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버킷 엘리베이터의 주요 문제 중 하나는 어려운 위생관리 입니다.제품은 넓은 표면적과 접촉하여 위생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매우 부피가 큰 시스템이기 때문에 방향을 바꿀 수 없지만 공압 이송시스템은 유연한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고 공간 절약적이며 생산부서 개편시 이동이 용이합니다. 장비의 다운타임 비용과 스패어 부품의 비용을 유발하는 벌크헤드(Bulkheads)와 이동식 벨트의 교체는 빈번한 작업 입니다. 공압 이송시스템은 기계적 부품이 없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버킷 엘리베이터와 공압이송시스템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중 하나는 제품 오염의 위험성입니다. 버켓 엘리베이터는 재료가 쌓일 수 있는 부분이 많아 오염의 위험성이 높고, 다른 분말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생산 라인에서 버켓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재료가 쌓일 수 있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생산현장 내에 제품의 분산도가 높습니다. |
|
|
|
|
|
| 공압 이송시스템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압 이송시스템은 공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위생적으로 만듭니다. ▶ 플렉서블 호스 사용과 모듈화 제작방식으로 설치시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 제품의 분산과 오염을 방지하고, 일부 모델은 탈혼합을 방지합니다. ▶ 마모되기 쉬운 기계부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지보수는 매우 빠르고 간편합니다. ▶ 생산 현장의 위생 및 안전성 향상 ▶ 빠르고 간편한 설치 및 다른 공정 장비와의 손쉬운 연결 |
|
|
|
|
문의시 다음 내용을 준비해 주시면 원활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
1. 이송물질의 종류 2. 이송물질의 특성 : 크기, 비중, 밀도, 끈적임, 가연성, 독성 등 3. 이송거리 : 수평거리, 수직거리 4. 이송능력 : kg/시간 5. 사용환경 : 온도, 습도 6. 방폭지역 7. 픽업방식 : 흡입노즐, 호퍼 |
공유해 주시는 정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거쳐 적합한 사양과 견적을 드리며, 자가설치가 기본사양 입니다. |
IM3D PRODUCTS CATEGORY